Lee Dawon 이다원 2002
2023 Fine Art, Kaywon University of Art & Design, Gyeounggi, Republic of Korea
2023 계원예술대학교 순수미술 졸업
2023 《It-item》, Gallery Naemamdaero, Suwon, Republic of Korea
2023 《A Paper plane》, Gong Tou, Seoul, Republic of Korea
2024 《Hello?》, KUMA Gallery, Uiwang, Republic of Korea
2024 《Mission》,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Gyeongssangbuk-do, Republic of Korea
2024 《Layered space》, Small Art Museum Bogugot, Gimpo, Republic of Korea
2023 《잇템》, 갤러리 내맘대로, 수원
2023 《종이비행기》, 공간투, 서울
2024 《여기 사람 있어요 : Hello?》, KUMA 갤러리, 의왕
2024 《사명 : 미래를 지키는 사람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경북
2024 《Layered space _ 나는 이 이야기를 무척 좋아한다》, 작은 미술관 보구곶, 김포
I explore how the mind influences the body and how the subjective body interacts with the outside world, capturing these ideas in painting.
The body is wholly mine, yet it cannot be fully conquered. Experiencing the uncontrollability of my body due to dystonia, I began to reflect on what defines 'self'. Within the uncertainty of not being able to trust even my own body, I found that what firmly supports me resides internally. Only the self shaped by the mind could clearly distinguish between 'self' and 'the world,' while simultaneously allowing the coexistence of 'self' and 'the world' in a flexible manner. However, the question of how to share the unseen experiences within the skin—those not witnessed by others—remains unresolved. For me, painting is a long-term project to communicate the subject of 'self' to the world, much like how understanding a person's language system requires observing them for an extended period.
Currently, I aim to express the subjectivity of the body by focusing on its functional aspects. The objects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narrative and capturing the images within it carry their own symbolic meanings. Animals, representing the bodies of others, operate within the canvas with their narratives, and the moment they encounter the viewer, they generate new stories. I seek to explore how the images, developed through multiple processes, are absorbed and reinterpreted by the complete 'other.'
(2024)"
나는 정신이 신체에 끼치는 영향과 주체성을 갖는 몸이 외부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회화 이미지로 담아내고 있다.
신체는 완전히 정복하지 못한 온전한 나의 것이다. 근육 긴장 이상증으로 몸의 통제 불가능성을 겪으며 ‘나’를 정의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고찰하기 시작했다. 자신의 육체조차 확신할 수 없는 불확실성 안에서 나를 단단히 지지할 수 있는 것은 오히려 그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었다. 정신으로 만들어낸 자아만이 ’나‘와 ’세계‘ 를 명확히 구분해내면서, 동시에 ’세계‘ 와 ’나‘라는 존재가 유연히 공존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러나 타자에겐 목격되지 않는 살갗 안의 일들을 어떻게 공유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 사람의 언어 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선 그 사람을 오래도록 지켜봐야 하는 일처럼, 내게 그림은 세계에 ‘나’라는 주체를 이해시키기 위한 오랜 프로젝트이다.
현재는 신체의 기능적 측면에 집중하여 신체가 가지는 주체성에 대해 표현하고자 한다. 하나의 이야기를 생성하고 그 안에 존재하는 이미지를 포착하는 작업 과정으로 하여금 드러난 대상들은 각각의 상징을 함유한다. 타자의 몸으로 대변되는 동물들은 화면 안에서 서사를 가진 채 작동하며, 감상자와 만나는 순간 다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몇 번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이미지가 완전한 타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흡수되는지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2024)
Mobile 010 - 9785 - 4008
E-mail
122dvvon@gmail.com
IG
@122_r8n